Buddhism2016. 7. 25. 12:09

천수경 해석/풀이/뜻/해설




천 수 경

千 手 經




정구업진언

淨口業眞言


(구업을 깨끗이 하는 진언)


수리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세번)


중생들은 다생겁으로 많은 죄업을 짓는 가운데 특히 구업을 수 없이 지어 왔고, 또 술·고기·五신채 등 나쁜 음식을 먹어서 항상 악취가 나며, 침, 가래 등이 있어서 입이 깨끗하지 못하므로 이 천수대비주를 외우기 전에 먼저 이 진언을 반드시 외워서 구업을 깨끗이 하라는 것이다.




오방내외안위제신진언

五方內外安慰諸神眞言


나무 사만다 못다남 옴 도로도로지미 사바하(세번)




개경게

開經偈


(경전을 찬탄하는 게송)


무상심심미묘법    가장높고 미묘하온 대자대비 부처님법

無上甚深微妙法 


백천만겁난조우    백천만겁 지나도록 만나뵙기 어려워라

百千萬劫難遭隅 


아금문견득수지    다행히도 제가지금 듣고모셔 지내오니

我今聞見得修持


원해여래진실의    부처님의 진실한뜻 빨리알게 하옵소서

願解如來眞實義




개법장진언

開法藏眞言


(법장을 여는 진언)



옴 아라남 아라다(세번)


천수천안관자재보살 광대원만무애대비심대다라니 계청

千手千眼觀自在菩薩 廣大圓滿無碍大悲心大陀羅尼 啓請



(천손과 천눈으로 중생을 구제하시는 관자재보살님의 광대하고 원만하고 걸림 없는 자비의 다라니를 청함)




계수관음대비주    관음보살 대비주께 머리숙여 절합니다

稽首觀音大悲呪 


원력홍심상호신    모든원력 크고깊어 원만상호 갖추신몸

願力弘深相好身 


천비장엄보호지    일천팔로 장엄하여 온갖중생 거두시고

千臂莊嚴普護持 


천안광명변관조    일천눈의 광명으로 온세상을 살피시니

千眼光明便觀照


진실어중선밀어    참된말씀 그가운데 비밀한뜻 보이시네

眞實語中宣密語 


무위심내기비심    함이없는 마음이나 대비심을 일으키사

無爲心內起悲心 


속령만족제희구    저희들의 모든소원 어서빨리 이루옵고

速令滿足諸希求 


영사멸제제죄업    모든죄업 남김없이 깨끗하게 하옵소서

永使滅除諸罪業



천룡중성동자호    하늘용과 모든성현 두루함께 보살피고 

天龍衆聖同慈護 


백천삼매돈훈수    백천가지 온갑삼매 한꺼번에 깨치어서

百千三昧頓薰修  


수지신시광명당    이법지닌 이내몸은 큰광명의 깃발되고 

受持身是光明幢 


수지심시신통장    복을담은 이내마음 신비로운 곳집되어

受持心是神通藏


세척진로원제해    모든번회 씻어내고 고통바다 어서건너

洗滌塵勞願濟海 


초증보리방편문    깨달음의 방편문을 속히얻게 하옵시며 

超證菩提方便門 


아금칭송서귀의    제가이제 대비주를 외우면서 서원하니 

我今稱誦誓歸依 


소원종심실원만    원하는일 마음대로 빠짐없이 이뤄지다

所願從心悉圓滿


나무대비관세음    대자대비 관세음께 지성귀의 하옵나니 

南無大悲觀世音 


원아속지일체법    이세상의 모든진리 빨리알게 하옵소서 

願我速知一切法 


나무대비관세음    대자대비 관세음께 지성귀의 하옵나니 

南無大悲觀世音 


원아조득지혜안    자비하신 지혜의눈 빨리얻게 하옵소서

願我早得智慧眼


나무대비관세음    대자대비 관세음께 지성귀의 하옵나니 

南無大悲觀世音 


원아속도일체중    한량없는 모든중생 빨리구원 하옵소서 

願我速度一切衆 


나무대비관세음    대자대비 관세음께 지성귀의 하옵나니

南無大悲觀世音  


원아조득선방편    온갖좋은 방편의계 빨리얻게 하옵소서

願我早得善方便


나무대비관세음    대자대비 관세음께 지성귀의 하옵나니 

南無大悲觀世音 


원아속승반야선    저언덕의 거룩한배 빨리타게 하옵소서 

願我速乘般若船 


나무대비관세음    대자대비 관세음께 지성귀의 하옵나니 

南無大悲觀世音 


원아조득월고해    생노병사 고통바다 빨리넘게 하옵소서

願我早得越苦海


나무대비관세음    대자대비 관세음께 지성귀의 하옵나니

南無大悲觀世音 


원아속득계족도    계와선정 훈륭한길 빨리얻게 하옵소서

願我速得戒足道  


나무대비관세음    대자대비 관세음께 지성귀의 하옵나니 

南無大悲觀世音 


원아조등원적산    극란보전 열반산에 빨리서게 하옵소서

願我早登圓寂山


나무대비관세음    대자대비 관세음께 지성귀의 하옵나니 

南無大悲觀世音 


원아속회무위사    아름다운 진리의집 빨리보게 하옵소서

願我速會無爲舍 


나무대비관세음    대자대비 관세음께 지성귀의 하옵나니

南無大悲觀世音 


원아조동법성신    절대평등 법성의몸 이뤄지게 하옵소서

願我早同法性身



아약향도산 도산자최절    칼산지옥 제가가면

我若向刀山 刀山自摧折    칼산절로 무너지고


아약향화탕 화탕자소멸    화탕지옥 제가가면

我若向火湯 火湯自消滅    화탕절로 말라지고


아약향지옥 지옥자고갈    모든지옥 제가가면

我若向地獄 地獄自枯渴    지옥절로 없어지다


아약향아귀 아귀자포만    아귀세계 제가가면

我若向我歸 我歸自飽滿    아귀절로 배부르고


아약향수라 악심자조복    수라세계 제가가면

我若向修羅 惡心自調伏    악한마음 항복되고  


아약향축생 자득대지혜    짐승세계 제가가면 

我若向蓄生 自得大智慧    지혜절로 생겨지다



나무관세음보살마하살 나무대세지보살마하살

南無觀世音菩薩摩訶薩 南無大勢至菩薩摩訶薩


나무천수보살마하살 나무여의륜보살마하살

南無千手菩薩摩訶薩 南無如意輪菩薩摩訶薩


나무대륜보살마하살 나무관자재보살마하살

南無大輪菩薩摩訶薩 南無觀自在菩薩摩訶薩


나무정취보살마하살 나무만월보살마하살

南無正趣菩薩摩訶薩南無滿月菩薩摩訶薩


나무수월보살마하살 나무군다리보살마하살

南無水月菩薩摩訶薩 南無軍茶利菩薩摩訶薩


나무십일면보살마하살 나무제대보살마하살

南無十一面菩薩摩訶薩 南無諸大菩薩摩訶薩



나무본사아미타불

南無本師阿彌陀佛(세번)



신묘장구대다라니

神妙章句大陀羅尼


나모라 다나다라 야야 나막알약 바로기제 새바라야 모지사다바야 마하사다바야 마하가로 니가야 옴 살바 바예수 다라나 가라야 다사명 나막 까리다바 이맘알야 바로기제 새바라 다바 니라간타 나막하리나야 마발다 이사미 살발타 사다남 수반아예염 살바보다남 바바말야 미수다감 다냐타 옴 아로계 아로가 마지로가 지가란제 혜혜하례 마하모지 사다바 사마라 사마라 하리나야 구로구로 갈마 사다야 사다야 도로도로 미연제 마하미연제다라다라 다린나례 새바라 자라자라 마라미마라 아마라 몰제예혜혜 로계새바라라아 미사미 나사야 나베사미사미 나사야 모하자라 미사미 나사야 호로호로 마라호로 하례바나마 나바사라사라 시리시리 소로소로 못쟈못쟈 모다야 모다야 매다라야 니라간타 가마사 날사남 바라 하라나야 마낙사바하 싯다야 사바하 마하싯다야 사바하 싯다유예 새바라야 사바하 니라간타야 사바하 바라하 목카싱하 목카야 사바하 바나마 하따야 사바하 자가라욕다야 사바하 상카섭나네 모다나야 사바하 마하라 구타다라야 사바하 바마사간타 이사시체다 가릿나이나야 사바하 먀가라 잘마이바 사나야 사바하


나모라 다나다라 야야나막알야 바로기제 새바라야 사바하(세번)


사방찬

四方讚


(사방을 찬탄함)



일쇄동방결도량    첫째동방 맑게 씻어 청정도량 이루었고

一灑東方潔道場 


이쇄남방득청량    둘째남방 맑게씻어 시원함을 얻었으며

二灑南方得淸凉 


삼쇄서방구정토    셋째서방 맑게씻어 안락정토 이룩하고

三灑西方俱淨土 


사쇄북방영안강    넷째북방 맑게씻어 영원토록 평안하게

四灑北方永安康




도량찬

道場讚


(도량을 찬탄함)


도량청정무하예    온도량이 깨끗하여 더러운것 없사오니 

道場淸淨無瑕穢 


삼보천룡강차지    삼보님과 천룡들은 이도량에 내리소서 

三寶天龍降此地 


아금지송묘진언    제가이제 묘한말씀 지니옵고 외우오니 

我今持誦妙眞言 


원사자비밀가호    자비로써 거두시어 굽어살펴 주옵소서

願賜慈悲密加護




참회게

懺悔偈


(참회하는 게송)


아석소조제악업    아득히먼 옛날부터 제가지은 모든악업 

我昔所造諸惡業 


개유무시탐진치    하나같이 탐진치로 말미암아 생기었고 

皆有無始貪瞋癡 


종신구의지소생    몸과입과 뜻을따라 무명으로 지었기에 

從身口意之所生 


일체아금개참회    제가지금 진심으로 참회하며 비옵니다

一切我今皆懺悔



참제업장십이존불

懺除業障十二尊佛


나무참제업장보승장불    보광왕화렴조불 

南無懺除業障寶勝藏佛    寶光王火簾照佛 


일체향화자재력왕불    백억항하사결정불 

一切香華自在力王佛    百億恒河沙決定佛 


진위덕불    금강견강소복괴산불

振威德佛    金綱堅强消伏壞散佛


보광월전묘음존왕불    환희장마니보적불 

寶光月殿妙音尊王佛    歡喜藏摩尼寶積佛 


무진향승왕불    사자월불 

無盡香勝王佛    獅子月佛


환희장엄주왕불    제보당마니승광불

歡喜莊嚴珠王佛    帝寶幢摩尼勝光佛




십악참회

十惡懺悔


살생중죄금일참회    살생하여 지은죄를 지금모두 참회하고 

殺生重罪今日懺悔


투도중죄금일참회    도둑질로 지은죄를 지금모두 참회하고

偸盜重罪今日懺悔 


사행중죄금일참회    사음하여 지은죄를 지금모두 참회하고

邪行衆罪今日懺悔 


망어중죄금일참회    거짓말로 지은죄를 지금모두 참회하고 

妄語衆罪今日懺悔 


기어중죄금일참회    꾸밈말로 지은죄를 지금모두 참회하고 

綺語衆罪今日懺悔


양설중죄금일참회    이간질로 지은죄를 지금모두 참회하고

兩舌衆罪今日懺悔


악구중죄금일참회    악한말로 지은죄를 지금모두 참회하고 

惡口衆罪今日懺悔 


탐애중죄금일참회    욕심내어 지은죄를 지금모두 참회하고 

貪愛衆罪今日懺悔 


진애중죄금일참회    성냄으로 지은죄를 지금모두 참회하고

瞋碍衆罪今日懺悔


치암중죄금일참회    어리석어 지은죄를 모두참회 하옵니다

癡暗衆罪今日懺悔



백겁적집죄    백겁천겁 쌓인죄옵 

百劫積集罪


일념돈탕제    이순간에 없어져서 

一念頓蕩除 


여화분고초    마른풀을 태우듯이 

如火焚枯草 


멸진무유여    남김없이 사라지고

滅盡無有餘


죄무자성종심기    마음에서 일어나는 본래없는 모든죄업 

罪無自性從心起 


심약멸시죄역망    이마음만 없어지면 모두절로 사라지리 

心若滅是罪亦忘 


죄망심멸양구공    죄와마음 모두없애 두가지다 공해지면 

罪忘心滅兩俱空


시즉명위진참회    이경지를 이름하여 진참회라 이른다네

是卽名爲眞懺悔




참회진언

懺悔眞言


(죄업을 참회하는 진언)


옴 살바 못자모지 사다야 사바하(세번)



준제공덕취 적정심상송    준제보살 크신공덕 

准提功德聚 寂靜心常誦    일념으로 외우오면 


일체제대난 무능침시인    그어떠한 어려움도    

一切諸大難 無能侵是人    능히침입 못하옵고


천상급인간 수복여불등    하늘이나 인간이나 

天上及人間 受福如佛等    태어나는 곳곳마다 


우차여의주 정획무등등    이여의주 얻은이는

遇此如意珠 定獲無等等    가장큰법 이룬다네


나무칠구지불모대준제보살

南無七俱肢佛母大准提菩薩

(칠구지불모 대준제 보살께 귀의합니다.)




정법계진언

淨法界眞言


(법계를 깨끗이 하는 진언)


옴 남(세번)




호신진언

護身眞言


(몸을 보호하는 진언)


옴치림(세번)




관세음보살 본심미묘 육자대명왕진언

觀世音菩薩 本心微妙 六字大明王眞言


(관세음보살님의 미묘하신 본심을 뜻하는 육자 진언)


옴 마니반메 훔(세번)



준제진언

准提眞言


(준제 관음의 진언)


나무사다남 삼먁 삼못다 구치남 다냐타


옴 자례주례 준제 사바하 부림(세번)





아금지송대준제    제가이제 대준제를 지성으로 외우면서     

我今持誦大准提 


즉발보리광대원    그지없는 보리심을 광대하게 발하오니 

卽發菩提廣大願 


원아정혜속원명    원하건대 선정지혜 뚜렷하게 밝아지고

願我定慧速圓明


원아공덕개성취    온갖공덕 원만하게 성취하게 하사오며 

願我功德皆成就


원아승복변장엄    높은복과 큰장엄을 두루두루 갖추어서

願我勝福遍莊嚴  


원공중생성불도    한량없는 중생들과 불도함께 이뤄지다

願共衆生成佛道





여래십대발원문    

如來十大發願文


(부처님의 열가지 큰 발원문)


원아영리삼악도    원하건대 삼악도를 여의옵기 원하오며

願我永離三惡道 


원아속단탐진치    원하건대 탐진치를 어서끊기 원하오며 

願我速斷貪瞋癡 


원아상문불법승    원하건대 불법승을 만나뵙기 원하오며 

願我常聞佛法僧


원아근수계정혜    원하건대 계정혜를 힘껏닦기 원하오며

願我勤修戒定慧


원아항수제불학    원하건대 부처님법 늘배우기 원하오며 

願我恒修諸佛學  


원아불퇴보리심    원하건대 보리심을 지니옵기 원하오며

願我不退菩提心


원아결정생안양    원하건대 극락세계 태어나기 원하오며

願我決定生安養 


원아속견아미타    원하건대 아미타불 속히뵙기 원하오며 

願我速見阿彌陀 


원아분신변진찰    원하건대 몸을두루 나투기를 원하오며 

願我分身遍塵刹


원아광도제중생    원하건대 모든중생 제도하기 원합니다

願我廣度諸衆生




발사홍서원

發四弘誓願


(네가지 큰 원을 세움)


중생무변서원도    한량없는 모든중생 남김없이 건지리다 

衆生無遍誓願度 


번뇌무진서원단    끝이없는 모든번뇌 남김없이 끊으리다 

煩惱無盡誓願斷 


법문무량서원학    한이없는 모든법문 남김없이 배우리라 

法門無量誓願學 


불도무상서원성    위가없는 모든불도 남김없이 이루리다

佛度無上誓願成


자성중생서원도    내마음속 모든중생 남김없이 건지리다 

自性衆生誓願度 


자성번뇌서원단    내마음속 모든번회 남김없이 끊으리다 

自性煩惱誓願斷 


자성법문서원학    내마음속 모든법문 남김없이 배우리다 

自性法門誓願學 


자성불도서원성    내마음속 모든불도 남김없이 이루리다

自性佛道誓願成



발원이 귀명례삼보

發願已 歸命禮三寶


(원을 일으켜 삼보께 귀의함)


나무상주시방불        시방세계 항상계신 부처님께 귀의하고 

南無常住十方佛 


나무상주시방법         시방세계 항상계신 가르침에 귀의하며 

南無常住十方法 


나무상주시방승」       시방세계 항상계신 스님들께 귀의합니다 

南無常住十方僧


(세번)







우리나라 불자들이 가장 많이 독송하는 관세음보살의 광대한 자비심을 찬양하는 다라니경(陀羅尼經).


한역본은 당나라 가범달마(伽梵達磨)의 번역본 등 10여 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가범달마의 『천수천안관자재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다라니경(千手千眼觀自在菩薩廣大圓滿無礙大悲心陀羅尼經)』이 널리 유통되고 있다.


은 관세음보살과 삼보(三寶)에 귀의한 뒤 속히 악업(惡業)을 그치게 하고 탐욕(貪欲)·진에(瞋恚)·우치(愚痴)를 움직이는 독(毒)을 소멸하게 하여 각(覺)을 이루게 해줄 것을 기원하는 것을 골격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뒤를 이어 관세음보살의 형용사나 별명을 몇 가지 나열하여 부르고 있다. 그 가운데는 쉬바신이나 비쉬누신의 별명이나 형용사로 쓰이는 것도 많이 있다. 예컨대 닐라칸타(푸른 목을 가진 자, 쉬바)·바라하므카(멧돼지 얼굴을 가진 자, 바쉬누)·싱하므카(사자 얼굴을 가진 자, 비쉬누) 등이 그것이다.


그리고 이 관음은 연꽃·수레바퀴·소라·곤봉을 가지고 있는데, 이 네 가지는 비쉬누신의 소유물이다. 또한, 이 관음은 쉬바신의 호랑이 가죽옷을 입고 있는 등 경전 전체가 강하게 힌두교의 영향을 받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유통되고 있는 『천수경』은 이 천수다라니 앞과 뒤로 정구업진언(淨口業眞言) 등의 진언과 개경게(開經偈)·대다라니계청(大陀羅尼啓請)·사방찬(四方讚)·도량찬(道場讚)·참회게(懺悔偈)·준제주(准提呪)·여래십대발원문(如來十大發願文)·사홍서원(四弘誓願)·귀명삼보(歸命三寶)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이는 이 경을 완전히 의식경전으로 탈바꿈시킨 것이다.


이 경은 중국 송나라의 사명존자(四明尊者)가 널리 유포했고,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중기부터 유통되기 시작하여 조선시대에는 가장 많은 판본을 남기면서 크게 신봉되었다. 또한, 각 진언 위에 수인(手印)을 넣거나 관세음보살의 갖가지 모습을 그린 화천수(畫千手)도 크게 유행하였다.


이 경을 염송함으로써 대오(大悟)하거나 소원을 성취한 승속(僧俗)이 많음에 따라, 우리나라 불교신앙의 소의경전으로 자리를 잡게 되었다. 현재 우리나라 대부분의 불교의식에는 이 경이 빠짐없이 독송되고 있다.





'Buddhism'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摩訶般若波羅蜜多心經)  (0) 2016.07.27
<신묘장구대다라니> 풀이  (0) 2016.07.26
예불문(禮佛文)  (0) 2016.07.24
사홍서원(四弘誓願)  (0) 2016.07.23
삼귀의(三歸依)  (0) 2016.07.22
Posted by 은두니